컨텐츠

대한상공회의소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ESG 정보공개 차별화 방안

2021.07.12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또한 이해관계자들의 기업 ESG 활동 공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다수의 기관들이 각각의 공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보고서는 최근 투자자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SASB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국내 기업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지속가능성 확산에 자본시장의 역할이 강조됨에따라 투자자들은 ESG를 기업 평가시 필수 고려 요소로 삼고 있다. 그러나 GRI 기준 등이 투자 의사 결정시 지나치게 많은 정보까지 다루고 있어 투자자가 기업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릴 때 핵심적인 정보만 쉽게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SASB 기준은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투자자의 관심에 초점을 둔 산업별 정보 공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점차 많은 기업들이 SASB 기준을 ESG 공시 기준의 표준으로써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SASB가 제시하는 지속가능성 산업분류 기준이 한국의 표준 산업분류기준과 달라서 국내 기업이 SASB가 제시한 기준을 직접적으로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보고서는 분류기준별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 분류기준의 매칭을 통해 각 산업이 직면한 지속가능성 이슈를 우리나라 산업분류기준에 접목하여 제시하였다. 국제회계 기준재단의 ESG 회계표준 정립 과정에 주요 참여자 중 하나인 SASB의 ESG 공시 기준을 이해하고 동기준에 맞는 정보 공시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산업 현실에 맞는 구체적 지표에 대한 의견 수렴이 이루어져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단의 첨부파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컨텐츠 정보
컨텐츠 정보
제목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ESG 정보공개 차별화 방안
등록일 2021.07.12
카테고리

ESG트렌드 | 인프라/정책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유형 Article
해시태그

#ESG #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성 #SASB #GRI #투자 #산업분류기준

댓글